본문 바로가기

*;,,;*삶의 흔적*;;* /풀꽃 바람 ▦

사프란 Saffron crocus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?

 

여행 프로를 보다 모로코에서 샤프란이 향신료로서 무척 중요한 재료라는 걸 본 적이 있다.

성경이나 신화 속에도 등장하는 샤프란의 꽃을 순천만 정원에서 보았다.

 

 

 

♥. 사프란 Saffron crocus

 

° 분류: 아스파라거스목>붓꽃과>사프란속

° 학명: Crocus sativus L.

° 꽃말: 즐거움, 지나간 행복

° 크기: 약 15cm

° 원산지: 아시아, 유럽

° 서식지: 온난, 소우지역

 

붓꽃과에 속하는 다년생식물로 비늘줄기가 있다.

사프란이란 이름은 〈구약성서〉의 〈아가〉 4장 14절에 나오는 향기좋은 풀들 가운데에서 따온 것으로, 음식에 맛이나 색을 내는 데 쓰기도 하고 염료로도 쓰인다.

색다른 향기가 강하고 쓴맛이 있다.

지중해와 아시아의 쌀이나 생선 요리, 영국과 스칸디나비아식의 빵 요리 등에 색을 내고 맛을 가미하는 데 쓰인다.

 

지중해 연안, 소아시아, 이란이 원산지로 알려진 사프란은 이란과 카슈미르에서 오랫동안 심어왔으며, 몽골족의 침입 때 중국에 들어간 것으로 추측된다.

 

961년경 스페인에서 아랍인들이 재배를 했으며, 그 뒤 사라졌다가 십자군들에 의해 다시 유럽에 들어오게 되었다.

 

세계에서 가장 비싼 향신료이며, 주성분은 피크로크로신이며,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집회장·궁정·극장·욕실 등에 향수로 뿌렸으며 특히 그리스의 고급 창녀 계층인 히티어리들도 이 향수를 썼다.

 

한국에서는 원예용이나 약용으로 재배하고 있다. 꽃의 즙을 짜거나 암술대 윗부분을 잘라 말려 약으로 쓰는데, 진정제, 진통제, 통경제로 쓰고 있다.

#출처: 다음백과사전

 

 

그리스 신화에 의하면 크로커스는 스밀랙스(Smilax)라는 요정을 사랑해서 마음을 애태우다가 죽은 미청년 크로코스(Krokos)가 변신한 꽃이라고도 하고, 카우카소스산에 묶인 프로메테우스의 피에서 핀 꽃이라고도 한다. 로마인들은 욕조나 침상, 향연의 자리에 이를 뿌리고 향기를 즐겼는데, 당시는 사프란을 가리키는 이름이었던 것 같다.

 

연애, 마술, 나아가서는 죽음과도 관련된 꽃인데, 초봄에 개화하므로 희망이나 청춘도 상징한다.

영국에는 12세기 헨리 1세 시대에 십자군이 가지고 들어왔다고 하며, 여관들이 염발료로서 이를 남용하였기 때문에 금지령이 발령된 적도 있었다고 하며 이 꽃은 신경 진정제, 위장약으로서 이용되며, 통풍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.

#출처: 종교학대사전

 

 

사프란은 알뿌리 식물인 크로커스 종류다. 봄에 피는 것과 가을에 피는 것이 있는데, 가을에 피는 것을 사프란이라 부른다. 흰색, 자주색 등 몇 가지 품종이 있다.

꽃 모양이 꽃말처럼 매우 아름답다.

#출처: 꽃과 나무사전

 

 

 

°

' *;,,;*삶의 흔적*;;* > 풀꽃 바람 ▦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무스카리  (0) 2017.03.19
아네모네  (0) 2017.03.19
정야  (0) 2017.03.16
영춘화  (0) 2017.03.15
  (0) 2017.03.06